이전 포스팅에서 Covariance와 Contravariance에 대해 알아보았다. 이 포스팅을 읽기 전에 [Kotlin] Covariance & Contravariance을 먼저 보고 오면 이 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. 이번에는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PECS 원칙과 read-only & write-only 제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.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자식 객체는 부모 객체로 바로 대입(치환, 변환)할 수 있지만, 부모 객체는 자식 객체로 바로 대입(치환, 변환)할 수 없다는 것이다. 바로 대입한다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. Child 클래스란 Parent 클래스에서 더 나아가 구체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. 그렇기 때문에 Parent 클래스에 있는 변수나 메서드는 Child 클래스..
Generic하면 빠질 수 없는게 Covariance와 Contravariance의 개념이다. 처음 이 개념을 Java의 Generic을 공부하면서 접했었는데, 그 때는 분명 다 이해했다고 생각하고 넘어갔지만 Kotlin을 공부하면서 다시 보니 헷갈리기 시작했다. 그래서 앞으로 몇 개의 포스팅에 걸쳐서 Covariance와 Contravariance의 개념에 대해 다시 공부해서 이해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. Covariance는 간단하게 “a more derived type”이라고 표현하고, Contravariance는 “a less derived type”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. more derived type이란, Parent Class와 Child Class가 있을 때 Child Class를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부스트코스
- Java
- SQL Server
- personal access token
- SQLD
- gson
- python3
- 안드로이드
- Algorithm
- covariance
- RuntimeException
- AsyncListDiffer
- GitHub
- SQLiteOpenHelper
- 내용제공자
- SQL
- Python
- AndroidStudio
- kotlin
- RecyclerView
- Android
- 알고리즘
- 위험권한
- 프로그래머스
- pecs
- ViewHolder
- SOCKET
- 파이썬
- MSSQL
- DiffUti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